페이스리스 유튜브, 끝났을까? 2025년 유튜브 수익화 정책 변화 총정리

반응형

2025년 7월, 유튜브가 페이스리스 유튜브 채널을 전면 금지한다는 루머가 돌며 많은 유튜버들이 긴장하고 있습니다.
"AI로 만든 콘텐츠는 이제 끝이다?"
"자동화 채널 다 막히는 거 아냐?"

하지만 정말 그럴까요?

이번 글에서는 유튜브에서 $3백만 이상 수익을 올린 베테랑 유튜버 Caleb Box의 설명을 바탕으로, 정책 변화의 진짜 의미와 앞으로의 대응 전략을 정리해드립니다.


🔍 1. 정책 변화 요약 – 핵심만 정리!

📅 2025년 7월 15일부터

유튜브는 반복적이고 대량생산된 콘텐츠에 대해 수익화를 제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때 말하는 콘텐츠는 다음과 같은 유형입니다:

  • AI 음성으로 읽는 레딧 스토리 영상
  • BGM이나 효과음만 반복되는 영상
  • 코멘터리 없이 클립만 잇는 컴필레이션 영상
  • 과도하게 비슷한 썸네일/제목을 가진 영상들

🧠 즉, '단순 자동화 콘텐츠'를 막겠다는 것이지, 페이스리스 유튜브 전체를 금지하겠다는 건 아닙니다.


🧭 2. 유튜브 수익화 정책 변화 히스토리

연도주요 정책 변화 내용
2016 유튜브 채널 개설 당일 수익화 가능 (무제한 자유 시대)
2018 수익화 조건 도입 (구독자 1,000명 + 시청 시간 4,000시간)
2019 레인 사운드, BGM 컴필레이션 채널 수익화 제한
2020 AI 음성으로 레딧 읽는 채널 다수 등장 → 대량 삭제
2025 반복·무성의 콘텐츠 감지 강화 → 새 정책 발표
 

📌 이전에도 유튜브는 저품질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재해왔으며, 이번 정책은 기존 정책의 연장선상에 있는 ‘정교화된 감지 강화’일 뿐입니다.


🎯 3. 어떤 채널이 안전한가?

Caleb Box는 이렇게 말합니다:

"유튜브는 AI를 도구로 잘 활용하는 채널을 응원하지, AI에 모든 걸 맡긴 채 질 낮은 영상을 대량 뽑는 채널을 제재한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안전합니다:

코멘터리 중심 콘텐츠
→ 사람의 시선, 해설, 의견이 들어간 콘텐츠 (예: 연예 이슈, 사건 정리 등)

AI는 도구로 활용
→ 예: ChatGPT로 스크립트 초안 → 사람이 다듬음
→ 예: 11Labs 같은 AI보이스 사용 시 사용자가 적은 음성 선택

VTuber 스타일 활용
→ 애니메이션/일러스트 기반 가상 인물을 사용해 브랜드화
→ ‘페이스리스’이지만 정체성과 감정 연결이 있는 콘텐츠로 제작


🚨 4. 주의해야 할 콘텐츠 유형

유튜브 수익화 정책에서 반드시 피해야 할 콘텐츠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 🤖 AI 음성이 그대로 읽는 Reddit 영상
  • 🎵 반복적인 BGM/레인사운드만 있는 영상
  • 📺 코멘트 없이 영상 클립만 붙인 컴필레이션
  • 🎭 똑같은 영상 구조, 똑같은 썸네일, 똑같은 제목

이런 콘텐츠는 “콘텐츠 변형 없이 대량으로 복제된 영상”으로 간주되어 수익화가 거부됩니다.


💡 5. Caleb의 전략 요약

  • “AI는 **‘도우미’일 뿐, ‘대체자’가 아니어야 한다”
  • “코멘터리를 꼭 넣고, 스크립트는 사람이 편집해야 한다”
  • “AI 보이스는 희귀하고 사람 같은 음성을 선택해야 한다”
  • “브랜드나 아바타, 페르소나를 만들어서 개성과 감정 연결을 강화해야 한다”

✅ 결론 – 페이스리스 유튜브는 ‘진화’해야 살아남는다

“Faceless YouTube is not dead.
Low-effort spammy content is.”

페이스리스 유튜브는 사라지는 게 아닙니다.
사라지는 건 무성의한 ‘AI 짜깁기 영상’일 뿐입니다.

오히려 제대로 만든 ‘가치 있는 페이스리스 콘텐츠’는 앞으로도 살아남고 성장할 겁니다.


📌 마무리 Tip

  • AI 자동화 = X
  • AI + 사람의 시선 + 브랜딩 = O
  • 수익화 조건 강화에 겁먹기보다, 진짜 콘텐츠를 만들자.

원문 참고: Caleb Box 유튜브 영상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구독,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

반응형